최근 인터넷에서 미국과 한국을 자주 왕래하는 사람이 쓰기 좋은 휴대폰 회사로 구글 파이 Google Fi를 추천하는 글을 많이 보았습니다. 이에 제 니즈 중심으로 구글 파이 특징 및 가격 정보를 현재 쓰고 있는 버라이즌 프리페이드 플랜과 비교하고자 합니다.
현재 상태
미국에 가입한 사이트 중에서 미국 휴대폰 번호로만 인증이 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저는 미국에서 만든 핸드폰 번호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버라이즌의 프리페이드 플랜을 썼습니다.
휴대폰으로 보는 업무가 많아서 미국에 머물 때는 프리페이드 중에서 무제한 또는 데이터를 많이 주는 플랜을 썼습니다.
현재는 한국에 와서 장기 거주하는 이유로 가장 저렴했던 국내 통화/문자 무료에 5GB 4G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 두 회선에 이 플랜을 적용하고, 오토 페이, 장기 계약(로열티) 디스카운트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한 대당 한 달에 25 달러 + tax를 내고 있습니다.
현재는 제가 쓰고 있는 요금제는 폐지된 상태이고, 가장 싼 옵션은 전화와 문자만 되는 30 달러짜리 요금제입니다.
저는 한국에서는 한국 휴대폰 번호를 주로 사용하고, 사용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kt의 4G 무제한 플랜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버라이즌 프리페이드 요금제 장점
버라이즌 프리페이드 장점은 한국에 있을 때도 미국 휴대폰번호나 한국 휴대폰 번호로 문자 보내는 것이 다 무료입니다.
다만 미국 휴대폰에서 문자를 받은 한국 휴대폰은 외국 발신 문자를 받았다고 추가요금이 청구됩니다.
버라이즌 프리페이드 요금제 단점
버라이즌 프리페이드 요금제의 단점은 미국 내에서는 무제한이라는 통화와 주어진 데이터를 미국 밖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전화나 데이터는 하루에 10달러 주면 무제한 사용이 가능한데, 너무 비싸서 안 쓰는 것이 낫습니다.
그래서 저는 미국 지인들과는 카톡이나 왓츠앱으로 통화를 하고, 그것이 안되면 제 한국폰에 설치되어 있는 국제전화 앱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제가 미국과 직접 통화할 일이 별로 없고, 한국에서 와이파이를 쓰거나 제 한국 핸드폰으로 모바일 핫스팟을 연결시키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서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다만 거의 쓰지 않는 핸드폰을 문자만 받는 용도 및 미국 핸드폰 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한 대당 한 달에 25달러를 내니까 그 비용을 아껴보고자 하고 싶습니다.
구글 파이 장점
구글 파이 홈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장점을 나열합니다.
이중에서 빌트인 vpn이 버라이즌과 비교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에 비규칙적으로 왕래하는 경우, 언제라도 원하는 플랜으로 스위치 할 수 있어야 유리합니다.
플랜별 가격 및 혜택 비교
마침 나무위키에서 한국에서 사용 기준으로 잘 정리해서 가져와봤습니다.
버라이즌과 비교 시 장점
구글 파이는 확실히 버라이즌과 비교해서 비슷한 서비스 시 가격이 월 5 - 12달러 더 저렴합니다.
아래 가격은 다 2회선 사용 시 해당합니다.
글씨가 너무 자잘해져서 보이지도 않지만, 결국 같은 조건이면 구글 파이가 버라이즌보다 더 싸다는 결론이 나게 됩니다.
또한 추가요금 없이 한국에서 미국에서와 같이 통화와 데이터 사용도 가능한 것도 큰 장점입니다.
버라이즌은 자기 통신사 서비스로 해외 전화 및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쓰려면 일 10달러를 추가로 내야 합니다.
구글 파이 단점
구글 파이의 단점은 이 전화번호로 한국에 전화를 하게 되면, 수신자는 국제전화를 받는 것으로 되어서 수신자의 국제통화료가 올라가는 실례를 범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보통 3개월 이상 미국 외에서 오래 체류할수록, 미국 내 데이터 이용량이 적을수록 직권해지될 확률이 높아진다."라고 합니다.
즉, 현재 저처럼 한국에 오래 머물고 있고, 미국에 짧게 체류할 경우에는 서비스가 끊길 수 있는 리스크가 있다는 것입니다.
서비스가 끊기면 쓸 수 있는 미국 핸드폰 번호 또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니, 항상 미국 핸드폰 번호를 유지해야 하는 저는 좀 불안합니다.
한국에서 구글 파이 개통 불가능
구글 파이는 신규 개통할 때 미국의 티모바일 T-mobile이나 스프린트 Sprint에 한 번 접속을 해야 개통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한국 내에서 개통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결론
구글 파이는 미국에서 주로 거주하면서 한국에 한두 달 짧게 방문하거나, 해외 출장 및 여행이 잦은 사람들에게 유리합니다.
저는 미국에 아무 때나 드나들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다음에 미국을 방문한다한들 구글 파이로 갈아타기에 리스크가 있는 듯합니다.
'주저리 > 미국-한국 잘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동양인 여자라 무시받지 않는 방법 (0) | 2023.02.14 |
---|---|
대한항공 스카이패스 보너스 티켓 마일리지 차감 변화 (0) | 2023.02.13 |
한국에서 사는 동안 국내 및 아시아 해외 여행 (0) | 2023.02.07 |
미국 빅테크 IT 회사 감원 레이오프 Layoff (0) | 2023.02.06 |
한국 귀국 및 역이민 시 미국 주민 및 해외체류자 장단점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