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외국인학교나 국제학교 교사는 장기적으로는 미국 현지 학교 교사보다 단점이 많을 것이다. 월급은 미국 현지의 월급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거니와 미국 현지에 있는 교사 노조 또한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교사의 권리를 보장받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것을 고려하면 우수한 교사가 장기간 외국인학교나 국제학교에 있기는 힘들 것이다. 교사 노조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국제학교 외국인학교 교사 국제학교나 외국인학교 교사는 한 곳에 정착하기보다는 세계 여러 곳을 다니며 학생을 가르친다. 보통 계약 기간인 2-3년을 채우고 나면 다른 국가로 옮겨간다. 출신 국가나 교사 자격증이 다른 경우가 많아 교사들이 공통된 목소리를 내기가 힘들다. 결론적으로 교사노조가 없고, 그들의 권익을 위한 목소리를 내기 쉽지 않다. 또..